카테고리 없음

~んです 이 뭔가요?

바라이로 2007. 6. 16. 01:20
んです」는 일본어 회화에서 빠질수없는 부분이라고 말해도 좋을만큼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일본어교과서에서는 그 도입시기가 늦고,또한 교실에서 교사가 하는 질문은, 질문하는 쪽은 답을 알고있고, 대답하는 쪽이 이해하고있는가를 확인하기위한 질문이 거의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런 질문은 んです가 빠지는것이 오히려 자연스럽게 느껴져, んです를 거의 사용하지 않게된다.



또한 이러한 질문들이 귀에 익숙해진 학습자는 정말로 정보를 얻기위한 발화에서도 んです가 빠진 문장을 사용하게 되버리는것이다.

그렇다면 어떨때 んです를 사용하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んです는 어떤 사태를 전제로하고 , 그 배경에 있는 事情등에 대해서 어떤 설명을 구하는경우(의문문), 또는 설명을 할때(평서문)등에 사용된다.





1. 疑問詞つき疑問文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의문사를 포함하는 의문문은, 어떤 사태가 성립하는것을 전제로하고, 그 전제가 되는 사태에 있어서 불분명한 요소를 청자에게 물어보는 것이다.



1) A : これ,おみやげです.
B :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どこへ行ったんですか.



이 예에서는 선물을 건네고있으므로 「Aがどこへ行った」는 것이 추측되고, 그것이 前提가 되고있으므로,「どこへ行ったんですか.」라는 「んです」文이 쓰인 것이다.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가운데에서도 특히 이유를 묻는 「なぜ」「どうして」에서는 「んです」는 거의 필수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2. 疑問詞なしの疑問文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


화자가 어떤 사태를 인식하고, 그 사태에 대해서 어떤 설명을 구할 때 사용된다.
이 「んです」文은 화자가 자신이 인식한 사태의 배후에 있는 사정이나 이유에 대해서 해석하고, 그것이 옳은지 청자에게 확인하는 기능이 있다.




2) (濡れた傘を持って入って來た人に) あ,雨が降っているんですか.




이 문장에서는 젖은 우산이 하나의 전제가 되고, 그것을 본 화자가 비가 내리고 있다고 해석한 것이다. 또한 그것이 옳은지에 대해 청자에게 확인하고있다고 말할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あ,雨が降っていますか.」는 부자연스러운 문장이되는 것이다.



3. 平 文(평서문)


「んです」의 평서문은 화자가 인식한 사태에 뭔가의 설명을 덧붙일 때 사용된다.




3) 今日,早めに失禮してもいいですか.

5時から人に會う約束があるんです.




4) A : テ-プレコ-ダ-を使う時は,まず,コンセントを

入れてください.
B : ああ,電池は 入っていないんですね.




3)은 화자자신의 선행발화에 설명을 곁들이는 것이고, 4)는 상대의 발화를 받아서 화자가 어떤 해석을 하는 경우이다.





그럼 이제, 실제수업에서의 도입방법 및 설명에 대해서 살펴보자




- -- - - ポイント(포인트)- - - - -


「んです」は,前提となる事態·發話と關連づけた說明·解釋を表す發話.
(「んです」는, 전제가 되는 사태, 발화와 관련된 설명, 해석을 나타내는 발화)


전제와의 관련을 의식한 연습이 중요하므로, 교실에서 학습자에게 발화시킬 때는 먼저 눈에 보이는 사태를 전제로 한 경우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


[1] 눈에 보이는 사태를 전제로한 「んですか」-그림으로 상황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

「どうしたんですか」의 경우
·(いっしょに步いていた二人のうちの一人が急に何かを思い出して,「あ!」と言ったまま立ち止まった)


·(玄關に出てみると,友だちがあちこちけがをして立っている)


「どうして~んですか.」
·(食卓で,一人は元氣よく食事中.もう一人は食事を前にしているのに食べようとしない)
-どうして食べないんですか.




「의문사는 사용되지만, 뭔가 전제가 되는 사태에 대해서, 자신의 해석을 들어서 질문하고 확인」


·(皆が旅行 を持って出かけようと」しているのに一人殘っている人に)
- 行かないんですか.



[2] 앞서 나온 발화를 전제로 한 「んですか」


·A : 今度のパ-ティ-ではみんなで歌を歌います.
B : 何を歌いますか.



·A : これ,富士山で撮った寫眞です.
B : 富士山に登ったんですか.



·A : すみません,コピ-機が動かないんですが.
B : ああ,紙づまりですね.このカバ-を開けて,紙を取り除いてください.
A : ああ,そこを開けるんですね.





* * *
지금까지 「んです」의 용법 및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んです」의 의미를 단순하게 강조할 때 사용한다라고 설명해 버리면, 과잉사용 할 위험이 있고, 또한 「んです」는 인토네이션에 따라서는, 말을 끝내버리는 것처럼 들리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んです」는, 사용해야 하는 장면에서 사용하지 않으면 뭔가 찝찝하고, 사용하지 말아야할 곳에 사용하면 부자연스럽고 무례한 인상을 줄 수 있는 성가신 문형이다.


한번에 완전히 습득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설명한 후에도 때때로 교사가 자연스럽게 「んです」문장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야겠다.